..

이승민 정글 코치님과의 대화

  1. 하루에 책과 알고리즘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해야 하나
    • 책 읽는것보다 알고리즘 문제를 스스로 풀어내는게 중요하다.
      결론부터 말하자면 알고리즘 8, 나머지 작업들 2 정도를 추천한다
      여기서 알고리즘 문제를 푼다는 건, 답지를 보지 않고 스스로 코드를 짜서 푸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

    • 물런 아예 관련 개념이 없다면, 책이나 강의를 보는 것도 좋다
      하지만 개념까지만 알고 스스로 활용해서 풀기를 바란다
      그리고 같은 카테고리에 쉬운 문제부터 풀어보고 다시 도전해보는 것도 좋다

    • 문제에 관하여 다른 사람에게 기분 좋게 질문하는 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
      협업에 과정에서 그 방법을 배우기를 바란다

    • 강의를 보고 풀거나 답지를 보고 푸는 건 정신 승리로 빠지기 쉽다
      (실제로는 풀 수 없는데 마치 풀 줄 아는것처럼)
      그리고 힘들게 알고리즘을 풀어냈을때 느끼는 재미가 있을 것이다

    •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코치님 기준으로 6시간정도는 고민해보고 안되면 답지를 보기를 추천한다
       

  2. 자는 시간에 관하여
    • 남들에게 잘 보이려고 늦게까지 있지마라 자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게 중요하다
      해야될 공부나 일이 있어서 늦게까지 있는건 문제 없지만 괜히 눈치보여서 정해진 시간 이외에 억지로 있지마라
    • 코치님들이 원하는건 좋은 애티튜드이지 잘 보이려고 남아있고 그러는건 의미 없다
       
  3. 여기는 필사하는 곳이 아니다
    • 책 내용을 블로그에 그대로 올리는건 필사이다
      개발자가 되려고 온거지 필사하려고 온게 아니다
      물런 매일 공부한 내용과 무거운 서적도 다 읽고 정리해서 포스팅하고
      알고리즘 문제도 잘 풀 수 있고 기간 내에 모든 걸 다 잘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겠지만
       
  4. 어떤 정렬 코드든 외워서 바로 만들 수 있어야 공부를 했다라고 보는가?
    • 어떤 정렬을 만들어라고 했을때, 개념을 확실히 알고 의사 코드정도만 만들어내도 괜찮다고 본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