..

백승현 정글 코치님 강의

게임 개발자 vs 타 직군 개발자

전망

  • AI의 부상: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직군이 AI의 영향을 받는 시대

  • 게임 개발은 여전히 매력적인 분야

  • 인간의 본능적 욕구인 ‘놀이’를 다룸

  • 도진기 작가도 엘든링을 칭찬했을 만큼, 게임은 문화와 예술의 정점으로 인정받는 중

  • 영화·음악을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산업 중 게임이 가장 큰 시장

  • 나이가 들어서도 게임을 여전히 많이 할 것

 

커리어가 잘 안 풀릴 경우

  • 게임 산업의 특성상, 성공 확률이 낮음

  • 10%만이 출시까지 가며

  • 그 중 3~5%만이 성공

  • 설령 성공해도, 5년 내 반복된 루틴에 질릴 수 있음 → 꾸준히 새로운 시도를 하고 싶어짐

 

게임 개발자가 가져야 할 마인드

  • 끊임없이 배우고 싶은 사람에게 적합.

  • 게임 개발은 플레이하는 것과 만드는 것이 완전히 다름

  • 하지만, 게임을 좋아해야 한다. 그 자체가 강력한 동기부여

  • 현실적인 채용 과정은 주도적인 마인드셋이 중요함

  • 채용 설명회는 반드시 참여할 것

  • “시켜만 주신다면 뭐든 하겠습니다”는 겸손한 실행력

  • 성과를 통해서만 목소리를 낼 수 있음

 

개발자로서 갖춰야 할 능력

  • 프로그래밍 기본기: 자료구조, 알고리즘

  • 게임 프로그래머는 클라이언트 + 서버 양쪽을 이해해야 함

  • 버전 관리와 협업 도구: SVN, Perforce 등

  • 상용 엔진 수준의 퀄리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

  • 자체 엔진 포트폴리오는 비추지만, 의미 있는 데모가 있다면 강력한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음

  • 신입 게임 개발자에게는 구체적인 업무 지시가 없을 수도 있음
    스스로 할 일을 찾아내는 자세 필요

 

게임 개발을 위한 학습 로드맵

1단계: 컴퓨터 공학 기초

  • 컴퓨터 구조

  • 운영체제

  • 자료구조

  • 알고리즘

  • C++

2단계: 게임 엔진의 구성 요소 이해

  • 렌더링: 3D 그래픽, 조명, 그림자

  • 물리: 충돌 감지, 강체/연체 시뮬레이션

  • UI: HUD, 인터페이스

  • 오디오: 사운드 처리, 이펙트

  • 네트워크: 멀티플레이어 구현

3단계: 실전 구현 영역

  • Graphics: 한계에 가장 먼저 부딪히는 분야

  • Physics: 수학/물리 기반의 정확한 시뮬레이션

  • Gameplay: 게임 로직과 연출

  • Audio: 몰입감을 주는 핵심 요소

  • Network: 서버-클라 구조, 동기화 이슈 처리

 

CG(Computer Graphics) 분야 공부 순서

도서 및 자료

  • Frank D. Luna - DirectX 12를 이용한 3D 게임 프로그래밍 입문

  • Real-Time Rendering (실시간 렌더링 바이블)

  • 게임 엔진 아키텍처 (수학, 시스템 구조 이해)

  • OpenGL 사이트 및 튜토리얼 (https://learnopengl.com/)

 

실습

  • Unity, Unreal Engine 둘 다 직접 사용해보기

  • 간단한 데모 프로젝트로 렌더링/물리 등 구현

  • GPU 파이프라인, 셰이더 등 저수준 렌더링 학습

 

마무리
게임 개발은 도전적이고 불확실성이 높은 분야지만
그만큼 만족감과 창의성의 보상이 큰 직군
AI 시대에도 인간의 상상력과 즐거움을 설계하는 일은
여전히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